💰 임산부를 위한 정부지원금 총정리
(2025년 최신판)
🎯 한눈에 보는 핵심 지원금
1️⃣ 임신·출산진료비 바우처 (국민행복카드)
-
지원금액: 단태아 100만원, 다태아 확대 지원
- 쌍둥이: 200만원
- 세쌍둥이: 300만원
- 네쌍둥이 이상: 400만원
- 신청: 임신 확인 후 보건소
- 사용처: 산부인과, 조산원 등
2️⃣ 첫만남이용권
- 지원금액: 출생 시 200만원 (국민행복카드 포인트)
- 대상: 2024년 이후 출생아
- 사용기간: 출생일로부터 2년
- 사용처: 유흥업소·사행업소 제외 대부분 가능
3️⃣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지원
- 내용: 건강관리사 파견 서비스
- 기간: 최대 25일~40일
- 지원: 소득수준에 따라 차등 지원
- 신청: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
🏥 의료비 지원
고위험 임산부 의료비 지원
- 대상: 19개 질환 진단받은 임산부
- 지원: 입원치료비, 약제비 등
- 한도: 1인당 최대 300만원
제왕절개 분만비 무료화 (2025년 신설)
- 내용: 제왕절개 시 본인부담금 0%
- 시행: 2025년 1월 1일부터
👶 저소득층 추가 지원
기저귀·조제분유 지원
- 대상:
- 기초생활보장, 차상위계층
- 기준중위소득 80% 이하 장애인 가구
- 기준중위소득 80% 이하 다자녀 가구
- 지원: 월 64,000원~86,000원
🏙️ 지역별 추가 지원금
서울시 (2025년 신설)
- 출산지원금: 출생아 1명당 월 30만원 × 24개월 = 720만원
- 대상: 서울 거주 무주택 가구
부산시 예시
- 첫째: 첫만남이용권 200만원
- 둘째 이후: 첫만남이용권 300만원 + 추가 100만원
📱 신청 방법
온라인 신청
- 복지로: www.bokjiro.go.kr
- 정부24: www.gov.kr
오프라인 신청
- 주민센터 (읍·면·동 행정복지센터)
- 보건소
⚠️ 꼭 기억하세요!
- 신청기한: 대부분 출생 후 2년 이내
-
필요서류:
- 임신확인서 (임신 시)
- 출생증명서 (출산 후)
- 주민등록등본
- 중복신청: 가능한 지원은 모두 신청하세요!
🔍 추가 혜택
- 철분제·엽산제: 보건소 무료 제공
- 표준모자보건수첩: 보건소 신고 시 지급
- 임신·출산 모바일앱 '아이마중': 무료 이용
💡 꿀팁: 지역별로 추가 지원금이 다르니 거주 지역 보건소에 문의하여 놓치는 혜택이 없도록 하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