쪽방·고시원 탈출 기회! 2025 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쉽게 알아보기



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열악한 주거 환경(쪽방, 고시원 등)에 거주하는 분들이 더 나은 집으로 이사할 수 있도록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대출이에요. 최대 8천만 원까지, 무이자 혜택으로 부담 없이 이사할 수 있어요! 


1.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
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대출을 받을 수 있어요:


  • 거주지: 쪽방, 고시원, 비닐하우스, 노숙인 시설 등 비정상 거처에 3개월 이상 거주 중인 분.  
  • 또는 최저 주거 기준에 미달하는 환경에서 만 18세 미만 아동과 함께 사는 분.  
  • 비정상 거처 확인은 주거상향 유형 확인서로 증명해야 해요.
  • 세대주: 대출 신청일 기준 세대주여야 해요.  
  • 무주택: 본인과 세대원 모두 집이 없어야 해요.  
  • 계약: 전세 계약을 하고 보증금의 5% 이상을 낸 분.


2. 어떤 집에 대출받을 수 있나요?

  • 공공임대주택: 「공공주택 특별법」에 따른 공공임대주택.  
  • 민간임대주택: 일반 전세 주택(크기 제한 없음).


3. 얼마나 빌릴 수 있나요?

  • 공공임대주택: 최대 50만 원.  
  • 민간임대주택: 최대 8천만 원.  


  • 대출 비율:  

  1. 새 계약: 보증금의 80%~100% 이내.  
  2. 갱신 계약: 증액분 이내에서 보증금의 80%~100% 이내.
  3. 담보 종류(HUG, HF 등)에 따라 비율이 달라질 수 있으니 은행에 확인하세요!



4. 금리는 얼마인가요?

  • 무이자: 5천만 원까지는 이자가 0%!  
  • 5천만 원 초과: 연 1.2%~1.8% (저렴한 편이에요).


5. 대출 기간과 상환은요?

  • 공공임대주택:  
  1. 처음 2년, 최대 9번 연장해 20년까지 가능.  
  2. HUG 보증은 최대 20년 10개월.
  • 민간임대주택:  
  1. 처음 2년, 최대 4번 연장해 10년까지 가능.
  2. 상환: 만기 때 한 번에 갚기(일시상환).  
  3. 중도상환수수료: 없어요!


6. 언제, 어떻게 신청하나요?

  • 신청 시기:  

  1. 새 계약: 잔금 지급일 또는 전입일 중 빠른 날부터 3개월 이내.  
  2. 갱신: 갱신일(또는 월세→전세 전환일)부터 3개월 이내.

  • 신청 방법:  

  1. 온라인: 기금e든든 사이트에서 신청 후 은행 방문.  
  2. 오프라인: 바로 은행에 방문해서 신청.

  • 필요 서류:  

  1. 비정상거처 거주 확인서(주민센터 발급).  
  2. 주민등록등본, 임대차계약서 등.

  • 신청 은행: 우리, 국민, 신한, 농협, 하나은행.  
  • 문의: 주택도시보증공사(1566-9009) 또는 은행에 전화.




7. 추가 혜택이 있나요?

  • 이사비 지원: 대출 심사 통과 후 이사하면 최대 40만 원까지 이사비를 지원받을 수 있어요! (주민센터에 신청) 

8. 유의사항은요?

  • 집을 사면 대출금을 갚아야 해요.  
  • 다른 기금 대출을 받으면 안 돼요.  
  • 비정상거처 지원으로 보증금을 이미 받았다면 이 대출을 못 받아요.  
  • 대출 조건을 어기면 상환해야 할 수도 있어요.


9. 결론

2025년 주거취약계층 이주지원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쪽방, 고시원 등에서 벗어나 더 나은 집으로 이사하고 싶은 분들에게 큰 도움이 돼요! 최대 8천만 원까지 무이자로 빌릴 수 있고, 이사비 지원까지 받을 수 있어요. 기금e든든이나 은행에서 지금 신청해보세요!


다음 이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