청년 전세 고민 해결! 2025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 쉽게 알아보기


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을 위해 주택도시기금에서 지원하는 대출 상품이에요. 만 19세~34세 무주택 청년이라면 최대 2억 원까지, 낮은 금리로 전세자금을 빌릴 수 있어요. 조건과 신청 방법을 정리했어요!


1. 누가 받을 수 있나요?


대출을 받으려면 아래 조건을 모두 만족해야 해요:

  • 나이: 만 19세 이상 ~ 만 34세 이하 세대주(예비 세대주 포함).  
  • 중소기업에 다니거나 창업 지원을 받은 청년은 병역 복무 기간만큼 나이 연장(최대 만 39세).
  • 집: 세대주와 가족 모두 집이 없어야 해요(무주택).  
  • 소득: 부부 합산 연소득 5천만 원 이하.  
  • 신혼, 다자녀, 재개발 세입자는 6천만 원, 신혼부부는 7.5천만 원까지 가능.
  • 자산: 부부 합산 자산 3.37억 원 이하(2025년 기준).  
  • 계약: 전세 계약을 하고 보증금의 5% 이상을 낸 사람.  
  • 대출: 다른 주택 관련 대출이 없어야 해요.  
  • 신용: 연체 기록이 없어야 해요.  
  • 공공임대주택: 공공임대주택에 살고 있으면 안 돼요(퇴거 시 가능).


2. 어떤 집에 대출받을 수 있나요?


  • 집 크기: 전용면적 85㎡ 이하(주거용 오피스텔, 기숙사 포함).  
  • 만 25세 미만 단독 세대주는 60㎡ 이하.  
  • 쉐어하우스는 면적 제한 없음.
  • 보증금: 3억 원 이하.


3. 얼마나 빌릴 수 있나요?


  • 최대 한도: 2억 원(만 25세 미만 단독 세대주는 1.5억 원).  
  • 대출 비율: 보증금의 80% 이내.  
  • 예: 보증금 2억 원 → 최대 1.6억 원 대출 가능.
  • 담보 한도: 보증 종류(HUG, HF, 채권양도)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.

주택전세자금계산하기



4. 금리는 얼마인가요?


  • 기본 금리: 연 2.2%~3.3% (소득과 보증금에 따라 달라짐).  
  • 지방 주택은 0.2% 더 저렴!
  • 우대 금리: 조건에 따라 추가 할인!  
  • 기초생활수급자, 한부모: 1.0% 할인.  
  • 다자녀: 0.7%, 2자녀: 0.5%, 1자녀: 0.3% (최대 12년 적용).  
  • 중소기업 청년, 청년가구: 0.3% 할인 (최대 4년).  
  • 전자계약 시: 0.1% 할인 (2025년까지, 최초 1회).


5. 대출 기간과 상환은요?


  • 기간: 처음 2년, 최대 4번 연장해 10년까지 가능.  
  • 자녀가 있으면 최대 20년까지 연장 가능.
  • 상환: 한 번에 갚거나 조금씩 나눠 갚기 선택 가능.  
  • 중도상환수수료: 없어요!


6. 언제, 어떻게 신청하나요?


  • 신청 시기:  
  • 새 계약: 잔금 지급일 또는 전입일 중 빠른 날부터 3개월 이내.  
  • 계약 갱신: 갱신일(또는 월세→전세 전환일)부터 3개월 이내.

  • 신청 방법:  
  • 온라인: 기금e든든 사이트에서 신청 후 은행 방문.  
  • 오프라인: 바로 은행에 방문해서 신청.
  • 신청 은행: 우리, 국민, 신한, 농협, 하나, 대구, 부산은행.  
  • 문의: 주택도시보증공사(1566-9009), 자산심사(1551-3119).


7. 유의사항은요?

  • 집을 사면 대출금을 갚아야 해요.  
  • 대출 조건을 어기면 상환해야 할 수도 있어요.  
  • 보증 신청도 같은 기간 안에 해야 해요.

8. 결론

2025년 청년전용 버팀목전세자금 대출은 전세자금이 부족한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돼요! 연소득 5천만 원 이하, 자산 3.37억 원 이하라면 최대 2억 원까지, 금리 2.2%부터 대출 가능해요. 기금e든든이나 은행에서 신청해보세요!


다음 이전